제 5차 도ㆍ농 상생프로그램 농촌 육성 정책
상태바
제 5차 도ㆍ농 상생프로그램 농촌 육성 정책
  • 김승수 기자
  • 승인 2022.12.05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 친환경·휴식공간으로 확장
지식·기술 갖춘 인력 유입 절실
모든 국민이 누릴 친환경·휴식 공간으로 확장
농촌 스스로 지향점을 환경·안전먹거리·치유·디지털·바이오 등 사회적 요구에 맞춰야
민관·지역민·관계인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한 인력확보
공간과 프로그램이 농촌에 필요
청년농촌살이·청년창업인턴·농촌창업심화 등으로 이어지는 프로그램
농촌지역 일자리와 도시인력을 연계할 ‘농촌사회 일자리·일거리 지원체계’ 구축
장기임대주택, 생활소득 보장 등 경제 기반부터 안정
영농정착지원금을 비농업으로 농촌에 진입하는 청년들에게도 지급
김승수 경영학 박사
김승수 경영학 박사

 

제 5차 도시와 농촌이 살아가기 위한 다양한 정책 대안이 제시된 사항을 아래와 같이 정리를 해보았다.

"우선 농촌, 친환경·휴식공간으로 확장이 되어야 함과 동시에 지식·기술 갖춘 인력 유입 절실 하다"고 밝혔다

제5차 도ㆍ농 상생포럼에서는 첫째,장기임대주택 둘째,소득보장 등 셋째, 경제기반 안정돼어야 인구유입이 될것이며, 넷째, 영농정착지원금 지급

다섯째, 비 농업분야 청년을 포함하여 다양성 있게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농촌의 역할은 농업생산을 넘어 모든 국민이 누릴 친환경·휴식 공간으로 확장돼야 한다는 시각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현실로 옮기려면 환경·치유·먹거리 등 농촌이 가진 자원서비스로 전환할 인력을 농촌에 유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울러 농촌 육성 정책을 도시와 분리하지 않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도 뒤따랐다.

 

농촌혁신 이끌 인재 육성해야한다.

“앞으로 도시의 대안 공간으로 농촌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며 “농촌 스스로 지향점을 환경·안전먹거리·치유·디지털·바이오 등 사회적 요구에 맞춰야 한다”고 관계자는 주장했다. 도시민들이 지향하고 원하는 가치를 펼칠 공간으로 농촌의 역할을 규정하자는 얘기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있어서의 관건은 인력 확보다.

“어느 개인과 사업체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고, 민관·지역민·관계인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해 혁신의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참석자는 강조했다.

황영모 전북연구원 연구위원

①“숫자에 초점을 맞춘 인구 유입이 아닌 지식·기술을 갖추고 도시와 농촌이 서로 원하는 것을 충족시켜줄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②“전문 인력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이 농촌에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③ 비농업 종사 농촌청년을 육성하기 위해 청년농촌살이·청년창업인턴·농촌창업심화 등으로 이어지는 프로그램을 만들자는 뜻이다.

④주거·체험·실험·벤처 등이 복합된 ‘농촌형 사회혁신허브’, 농촌지역 일자리와 도시인력을 연계할 ‘농촌사회 일자리·일거리 지원체계’ 구축 등도 대안으로 제시.

권혁범 여민동락공동체 대표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농촌에 역량 있는 젊은 세대를 불러들이려면 장기임대주택, 생활소득 보장 등 경제 기반부터 안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기수 국민농업포럼 상임이사도 “1차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4년생)를 제외하면 사실상 농촌과 일반 국민의 교감이 거의 사라진 상태”라며 “정부가 신규 창업농에게 3년 동안 지원하는 영농정착지원금을 비농업으로 농촌에 진입하는 청년들에게도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