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논문의 본질과 구성요소
상태바
연구 논문의 본질과 구성요소
  • 김승수
  • 승인 2021.10.08 1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논문이란 무엇인가?
2. 논문의 유형
타인에게 알리고 싶은 논문같은 새벽 맞이
타인에게 알리고 싶은 논문같은 새벽 맞이

1.論文이란 무엇인가?

논문이란 '어떤 특수한 현상 또는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학술적으로 깊이 연구하고 그 결과를 저작상의 관례에 따라 제시하여, 제 3자가 참고토록 하는 것'또는 '어떤 주제에 관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로 얻어진 여러 가지 사실과 이러한 사실에 대한 연구자 자신의 비판이나 평가를 종합한 것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적절한 체제를 갖추어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논문 작성은 근본적으로 자기가 어떤 문제에 대해 연구한 사실을 타인에게 알리고자(to inform)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신문이나 소설등 다른'알려주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와는 달리 논문은 전통적으로 그 형식과 체제가 다른 정보와는 사뭇 다르다는 점이 논문과 기타 정보제공 수단과의 주요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주제선정기준:좋은 논문은 좋은 주제의 선정에서 부터 출발한다. 몇가지 기준을 살펴보면

첫째, 평소 흥미를 가지고 있거나 문제의식을 가졌던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무리 흥미를 느껴 왔던 주제라도 그것이 비용 및 시간상 연구자의 역량으로 해결할수 없는 혹은 자료 획들이 어려운 것이라면 빨리 포기하는 편이 났다.

둘째, 주제는 창의적인 것이어야 한다. 다른 연구자가  연구한 내용을 다시 다루는 것은  그것이 기존연구 내용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비판이 아니라면 '연구를 훔치는 행위'에 가깝다고 하겠다.

한국의 학계에서는 대학원생,심지어 일부 양식 없는 교수들조차도 남의 논문을 표절하여 사회적 물의를 빚는 경우가 많이 눈에 띄고 있는데, 창의성은 연구의 생명이요 존재가치라 할수 있다.

논제의 참신성과 창의성을 위해서는 이미 발표된 해당분야의 논문들을 많이 읽고 문제의식을 키우는 것이 첩경이다.

셋째,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어느나라,지역등)구분하여 범위를 가능한 축소해서 후보 주제를 생각해 보아야한다. 연구의 범위가 좁고 명확할수록 좋은 주제이다.

넷째,검증이 수월할듯한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규범적 방법이든 경험적 방법이든 논리적으로 독자를 설득시킬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는 주제를 선정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논문작성의 기본자세 :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지나친 욕심은 금물이다. 대작을 쓰겠다고 욕심을 부리다 보면 현실적인 자료의 제약성,시간의 부족등으로 곧 좌절의 늪에 이르게 된다.

연구자의 논문 한편은 가령 20층 높이의 건물을 짓는다고 할때, 잘 해야 벽돌 한 장을 쌓을수 있을까 말까한 미미한 역할에 불과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논문을 쓰는것은 흑자가 이야기 하듯, '생활의 일부이고 생활 그 자체가'되어야 한다.

연구자에게는 항상 연속적이고 집중적으로 사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길을 걷거나 차를 타고 갈 때도 문득 새로운 발상이나 생각이 떠오르면 이를 즉시 노트 등에 메모해 두는 지혜가 필요하다.

보석도 잘 연마해야 상품가치가 높아지듯이,아무리 훌륭한 사고라도 일단 글로 옮긴 후 이를 계속 반복해 수정하면서 어루만져야 좋은 글이 된다. 초고를 마친 뒤 시간을 내어 자꾸 推敲(퇴고:proof -reading)하는 습성은 글쓰는 사람의 최고의 미덕이다.

시인도 몇줄짜리 시 한편을 쓰기 위해서 열 번 정도는 퇴고한다고 하며, 많은 사회과학자들도 초고를 8~10번 퇴고한다고 고백한다.

(베커,1999:32).퇴고를 많이 하는 학자일수록 보다 더 좋은 글을 쓴다고 보면 틀림이 없을 것이다.

2.논문의 유형

논문의 부류에 드는 저작물로는 정기간행 학술지 논문(periodic journal articles),고찰문(또는 평론:review),보고서(report), 학위논문(thesis;dissertation)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논문이라고 할 때는 흔히 학술논문(또는 연구논문)을 일컫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글에서는 학술적 논문을 그 주된 설명대상으로 한다.

연구한 내용을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기술한 것을 우리는 흔히 포괄적으로 '연구논문'이라고 부르지만,연구논문에도 몇가지 유형이 있고

서로 약간씩 성격을 달리 한다.

이들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학술논문(research papers) : 자기 전공분야 중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던 어떤 문제를 주제로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방법을 선택하며 이제까지 이루어진 연구결과와는 다른 새로운 연구결과를 도출해 내는 논리적인 글이다. 학위논문,전문학술지,게재논문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고찰형논문(review papers):고찰문은 어떤 특정 분야 ㆍ개인ㆍ집단의 연구성과를 정리ㆍ비판하든지 아니면 새로나온 저서나 논문 ㆍ 작품등을 비판적으로 해석 ㆍ평가하는 글로서,크게 서평(book review)등 논문적인 성격이 없는 저작과 학술적인 논문 성격의 고찰논문(review papers)으로 나눌수 있다.

보고문(reports):보고문은 문자 그대로 있는 사실을 그래도 '보고'하는 글이다.

학술 논문에는 논리의 검증이나 이론적고찰등이 따르는데 반하여, 보고문은 답사ㆍ관찰 ㆍ채집 ㆍ실험 등으로 얻어진 사실이나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상대방에게 보고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보고문도 자신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곁들여진다면 학술논문의 성격을 띨 수 있다. 보고문의 생명은 사실발견(fact-finding)에 있으므로 정확성이 생명이다.

논문의 성격에 따라 갗추어야 하는 형식상의 요건도 다른다.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는 자체 각종 학회지에 투고할수 있는 학술 논문의  유형을 경험적연구,문헌고찰연구,이론적연구 세가지로 나누고 각 유형 투고논문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4:4~6)

경험적연구(empirical articles):경험적인 창의적인 연구로서,다음과 같이 일련의 정해진 연구단계를 밟아야 한다.

○ 서론(introduction) : 연구할 문제의 전개와 연구목적의 기술

○ 방법(method):연구하는데 이용할 방법의 기술

○ 결과(results)발견한 결과의 기술

○ 논의(discussion):분석 결과가 의미ㆍ시사하는 점에 대한 해석및 평가

문헌고찰연구(review articles)기존 선행연구의 비판적 평가로서,기존 연구를 조직 ㆍ통합 ㆍ평가함으로써 문제해결을 향한 현재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는다.

○ 연구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여 명료화 시킨다.

○ 기존의 연구를 요약하여 독자들에게 현재 연구의 위상을 알린다.

○ 문헌연구상에서 상호 관계성 ㆍ 상충점 ㆍ차이점 ㆍ불일치성 등을 밝혀낸다.

○ 이어서 문제 해결의 방안을 제시한다.

노을&배
노을&배

이론적 연구(theoretical articles):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문헌고찰 연구(평론)와 구조가 같으나,이는 논리전개상 필요할때는 경험적 정보(현실통계등)를 동원한다는 점과 새로운이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연구자는 이론의 내적 ㆍ 외적 일관성이 있는지,다시 말해 이론의 자체 모순은 없는지,이론과 현실이 모순되지는 않는지를 검토하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특히, 학위논문의 경우),이들 세 가지 유형이 서로 혼합되기도 한다.

실증적인 연구를 하는 학문의 경우,review →empirical →theoretical의 작업순서로 진행되는 경우도 주변에서 많이 볼수 있다.

한편 영어식으로 표현된 연구관련 논문 용어에는 개념이 유사해 혼동을 일으키기 쉬운 것들이 많다. 유사 용어들과 그 특성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①article : 신문이나 잡지 또는 학술 잡지(journal)에 게재 되는 비교적 간단한 논문. 학회지 등에 실리는 내용이 압축된 소형 논문 

②monograph : 특정한 테마에 관한 전문 논문으로서,다루는 주제의 전문성이 강조되는 소논문.연구소등의 working paper 등이 이에 해당.

③essay :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지닌 논문.monograph나 article 보다는 덜 체계적인 논문

④thesis:dissertation :주로 학위논문을 일컫는 것으로서,흔히 thesis는 석사학위논문을,dissertation은 박사학위 논문을 지칭하나 지역이나 교육기관에 따라서는 구분 없이 쓰기도 한다. 이들 논문은 학위취득 자격기준 중이 한 요건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위의 논문들과는 성격이 다른, 형식상의 완벽성의 요구되는 '완전한'논문이라고 할수 있다.

'아티클'등이 전문학술지가 추구하는 분야에의 기여도,지면의 제약성으로 인한 간결성 등이 크게 요구되는 반면에,학위논문은  연구자가 이제 스스로 독자적 연구를 수행할수있다는 능력을 보여 주고 또 이를 평가자가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그 주요기능중 하나이다.

따라서 학위논문은 명백한 문제제기나 연구목적 제시,적절한 가설,기존관련 연구들의 폭넓은 고찰,충분한 방증자료 제시를 통한 완벽한 검증 등 온갖 정성이 다 가미된 '일대의 노작'이라고 할수 있다.

⑤paper : 가장 일반적인 논문용어로서, course paper,term paper등 대학생에게 과제로 주어지는 연구물(때로는 'college paper'라고도 불림)과,documented paper(논지의 타당성,정확성을 입증하기위한 증빙자료가 갖추어진 논문),research paper(documented paper로서 학술 저널에 실리는 소논문 article등 포함)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⑥report: 이 용어은 원래 의미 속에는 '논문'이라는 의미가 없지만, 우리나라와 일본의 대학 캠퍼스에서는 통속적으로 '학기중의 학생들이 써서 교수에게 제출하는 과제물'즉 term paper와 같은 개념으로 인식되는 용어이다.

가을 코스모스
가을 코스모스

 

그러나 리포트의 특성은  말 그대로 '보고문'일 뿐 창의성이 가미된 논문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지는 않다.

논문이 이론과 논거를 바탕으로 특정사실을 객관적으로 밝혀내는 과학적인 연구라면,

리포트는 단지 조사,관찰,답사,실험등을 통해 얻어진 사실이나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여 요구자에게 제출,보고하는 글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리포트에 과학적 논증과 자신의 객관성있는 주장등이 가미된다면 이는 리포트의 성격을 벗어나 '논문'영역에 들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연구논문의 요건과 주제선정의 절차와 연구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저물어 가고 있는 가을이다. 논문 쓰기에 가장 적합한 계절이지만,시간적으로 매우 촉박하게 다가올수 있다.인내심을 갖고 확실한 자기만의 학문적 논문이 되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